- 인터넷에 처음 접속이 되는 상황에 naver.com에 접속을 할 경우 일어나는 과정을 순서대로 알아보자!
1. DHCP
- 처음 유선랜을 연결하기전 우리가 현재 가지고 있는 정보는 mac 주소뿐이다.
- 유선랜을 연결했다면 IP주소를 얻기위해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을 사용하여 GWR(Gateway Router)로 부터 주소를 할당 받는다.
2. DNS
- application layer라고 칭할 수 있는 chrome, IE 에 naver.com을 입력.
- DNS 테이블을 봐도 naver.com을 찾을 수가 없다.
- DNS 서버(보통 GWR이 역할)에 naver.com 의 IP주소를 요청.
3.ARP
ARP table에 IP에 맞는 mac 주소가 있는지 확인.
naver.com의 IP는 알지만 이를 찾아가기위한 경로의 mac 주소는 모르는 상황이기 때문에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을 사용하여 IP주소를 mac 주소를 찾는다. 보통적으로 이또한 GWR의 mac 주소를 가르킨다.
체크포인트 : mac 주소는 naver server의 mac 주소인가?? 대답은 NO!
4. TCP connection
- 연결을 하기위한 준비는 다 끝난 상황에서 신뢰성 있는 연결을 위해 TCP 연결을 통해 naver의 서버와 3-way-handshaking을 진행.
- 이를 연결하기위한 방법에서 http연결은 port 80, https는 port 443를 사용
5. TLS/SSL
- 처음 연결이 성립된 후 보안성 있는 통신을 위해 공개키, 타원 곡선, 대칭키 등과 같은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연결
6. Session 유지
- 요청시 마다 인증을 하는 것은 매우 불편한 작업임으로 cookie와 session을 사용하여 연결을 지속한다.
궁금하신점이나 오류가 있다고 생각하는 부분들은 댓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