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각의 layer가 가진 특성 별로 책임을 지는 형태.
Application : host or client가 실행하고자 하는 작업.
presentation : 데이터를 표현하고자 하는 방법 + 암호화 방법.
session : 여러 연결에 대해서 연결의 지속 혹은 갱신에 대한 부분을 담당.
transport : 네트워크 연결 방법을 정해주는 곳 (TCP/ UDP) -> 하나의 네트워크에 여러 프로세스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면 될듯.
Network : ip packet을 통해 통신을 할 수 있게해준다. -> link를 통해서만 하게 되면 table이 상상을 초월하게 될 것이고 느려짐 그걸 방지 하는게 홉을 늘리더라도 network layer 쓰는 이유
Link : MAC address 를 통한 통신 방법층
연결 방식에 따라 TCP, VC, UDP 등이 존재한다.
네트워크의 사용자가 많아 데이터 전송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많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Congestion control이 필요
Naver에 접속 해보자 (0) | 2021.01.08 |
---|---|
TCP/IP illustrate 2 (0) | 2020.07.23 |
DHCP (0) | 2020.07.09 |
TLS / SSL (0) | 2020.06.01 |
Wireless (0) | 2020.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