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널의 강도가 멀어질수록 작아진다
다른 소스로부터의 방해가 많다
일정하게 보장되지 못한다
AP(access point)들이 존재하고 그에 연결한다
AP는 경우 스위치or 라우터에 유선으로 연결
하나의 AP가 연결시키는 구역을 BSS(Basic Service Sector)
passive scanning
beacon frame에 담아서 AP들이 사용자한테 보낸다
그 중 세기가 높은걸 선택
주기적으로 갱신
CSMA/CA
송신자는 DIFS 일정 시간동안 Collision detection을 한다.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자는 데이터를 받고 SIFS 일정 시간동안 기다렸다가 ACK 신호를 송신자에게 보낸다
RTS/CTS
CSMA/CA는 충돌시 시간이 너무 오래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RTS(Ready to Send) 라는 작은 데이터를 AP에게 보내 충돌이 일어나는지 먼저 확인
AP는 CTS(Clear to send) 라는 메세지를 송신하여 송신을 보장한다
wirleless 의 frame은 기존 다른 frame들과 다르게 총 4개의 주소 값이 있다
adress1 : AP or host (수신자)의 주소값
adress2 : AP or host(송신자)의 주소값
adress3 : router의 주소값
adress4 : 임시로 사용되어지는 주소 크게 많이 쓰이지 않음
why ?
AP는 link layer만을 이해한다
고로 뒤의 data안의 IP 를 이해하지 못한다 고로 3가지로 나눈다
client, server의 유일한 소켓의 연결
server의 경우 동일 IP, port로 연결 하지만 client는 모두 다른 IP와 port가 있으므로 2개의 조합으로 유일한 통로를 만들어줌
AP1 -> AP2로 바뀔경우 인터넷 연결이 끊기는가??
DHCP가 바뀌지 않는다면 연결은 끊기지 않고 지속
하지만 switch 상의 경로는 새로 설정해줘야함
그럼 핸드폰 연결은 왜 안끊길까?
GWR 하나를 마지막에 두고 여러번에 걸친 연결 네트워크를 생성하기 때문에 문제없이 연결이된다.
고로 IP 안바뀜 잘터짐!
DHCP (0) | 2020.07.09 |
---|---|
TLS / SSL (0) | 2020.06.01 |
5G intro (0) | 2020.05.17 |
Link layer (0) | 2020.05.11 |
Network layer (0) | 2020.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