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s 생각 정리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준's 생각 정리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32)
    • Web (0)
      • network (0)
    • Computer Science (16)
      • OS (5)
      • Network (11)
      • Data Science (0)
    • Hadoop (1)
      • Spark (1)
      • Hadoop (0)
    • Cloud (12)
      • Kubernetes (4)
      • Openstack (8)
    • Math (2)
      • 선형대수학 (2)
      • 응용통계학 (0)
    • PS (0)
    • 일상 (1)

검색 레이어

준's 생각 정리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consistent hasing

  • Hash & Consistent hasing

    2021.01.11 by yellowmarine

Hash & Consistent hasing

Hash key - value, Hash 함수, Hash 테이블 3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특정 key 값을 hash 함수에 대입하면 값을 반환하도록 설계된다. 반환된 값에 바탕으로 테이블의 크기 값으로 나눠 hash 테이블에 저장하게 된다. 위와 값이 table의 key값이 같은 경우 보통적으로 linked list로써 chaining hash를 구성한다. 하지만 linked list가 무한히 길어질 수 는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해 LRU 방식 혹은 특정 길이 이상 길어질 경우 linked list를 리셋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생각해보기 : 위의 hash 방식을 사용하여 load balancer를 디자인 하는것은 좋은 방법일까? 단일 서버 환경에서는 좋은 방법일 수 있다. 하지만 naver, kakao,..

Computer Science/Network 2021. 1. 11. 17:14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다음
TISTORY
준's 생각 정리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